안녕하세요. 과거 저장장치 선택을 할 때는 용량과 가격을 기준으로 이루어졌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HDD 뿐만 아니라 SSD와 하이브리드 드라이브까지 등장하면서 선택의 폭이 넓어지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저장장치를 구매하기 위해 어떤 요소들을 살펴봐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정통적인 저장장치라고 할 수 있는 하드 드라이브는 가장 오랫동안 저장장치 선택받은 기본 스토리지였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SSD를 사용하는 추세입니다. 물론 최근 출시되고 있는 하드 드라이브는 과거의 하드 드라이브에 비하여 성능이 더욱 좋아졌습니다.
물론 기술적으로는 더 나아졌지만 하드 드라이브의 자체적인 기술은 그대로라고 보시면 됩니다. 하드 드라이브는 데이터 검색, 기록을 위하여 헤드가 빠르게 회전하면서 읽기, 쓰기를 합니다. 이는 안정적이기도 하지만 다른 저장장치에 비하여 저렴하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그래서 저장 용량이 많이 필요할 때 하드 드라이브를 선택하시는 게 좋습니다.
요즘 저장장치 선택을 할 때하드 드라이브는 데스크톱 컴퓨터나 노트북의 보조 장치로 많이 사용합니다. 그동안 하드 드라이브는 노트북과 데스크톱 컴퓨터의 기본 저장장치였지만 이제는 SSD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웹 서핑이나 문서작성을 주로 하는 상황이라면 하드 드라이브가 나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본 스토리지는 SSD가 상대적으로 더 빠릅니다.
SSD는 현재 가장 빠른 저장장치입니다. 그리고 내구성 또한 매우 뛰어납니다. SSD에는 움직이는 부품이 없습니다. 그래서 진동, 움직임으로 인하여 손상이 발생하거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로부터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기존 하드 드라이브가 포함되어 있는 노트북 또는 시스템을 떨어트릴 경우에는 데이터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SSD의 단점은 하드 드라이브에 비하여 가격이 비싸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가격 대비 저장 공간이 하드 드라이브에 비해 부족합니다. 그리고 SSD는 특별한 경고가 없이 고장이 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만약 파일을 저장하는데 문제가 발생하거나 저장하는 동안 오래 걸린다면 SSD의 오류가 발생할 조짐으로 바라보시면 됩니다. 이 과정에서 시스템 복구 또는 부팅할 때 고장 날 수 있습니다.
SSD를 오래 사용했다면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SSD 유지관리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SSD 또한 하드 드라이브처럼 언젠가는 고장이 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드라이브에 고장이 발생하여도 소중한 파일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려면 사전에 백업을 부지런히 해놓아야 합니다.
하드 드라이브와 SSD를 섞어놓은 것이 하이브리드 드라이브로 보시면 됩니다. 표준 하드 드라이브에 비하여 성능이 더 낫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는 단일 드라이브 내부에 하드 드라이브의 기존 회전 플래터와 SSD의 고속 플래시 메모리가 함께 갖춰져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하이브리드 저장장치는 하드 드라이브에서 읽는 데이터를 모니터링 한 다음에 자주 접하는 데이터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로 캐시 합니다. 그래서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는 SSD와 같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하드 드라이브는 SSD와 고성능 하드 드라이브 중간 지점에 있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러므로 보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더 높은 저장장치 성능을 원한다면 하이브리드 하드 드라이브를 볼 수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하드 드라이브의 장점 중 하나는 관리하기가 편하다는 점입니다.
캐시 볼륨은 운영체제에 있기 때문에 SSD에 저장해야 하는 데이터와 하드 드라이브에 저장해야 하는 데이터를 따로 선별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하드 드라이브만큼의 용량을 누릴 수 있고 부팅시간 또한 함께 줄일 수 있습니다. 물론 하이브리드 드라이브는 새로운 데이터가 들어올 때 다소 느려질 수 있습니다. 데이터를 새롭게 작성하거나 자주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에 접근할 때는 하드 드라이브와 동일한 속도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사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10 엣지 파일다운로드 차단 해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4.14 |
---|---|
라인 비밀번호 바꾸기 방법 알고 계신가요? (0) | 2022.04.12 |
한컴오피스 한글 모양복사 기능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4.08 |
파워포인트 애니메이션속도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4.06 |
와이파이 공유기 어떤 기준으로 선택할까? (0) | 2022.04.04 |